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스쿨

2011. 12. 20 세상의 고통을 피해가는 법 선 스승의 편지 중 예전에 어떤 스님이 한 노스님에게 물었다. "세상이 이렇게 뜨거운 고통이니 어느 곳으로 피해야 할 지가 궁금합니다." 노스님께서 말씀하셨다. "끓는 물 뜨거운 아궁이 지옥 속으로 피하느니라" 그러자 어떤 스님이 다시 물었다. "저 끓는 물 아궁이 지옥 속에서 세상의 재앙을 어떻게 피할 수 있습니까?" 노스님의 대답 "모든 괴로움이 다가갈 수 없기 때문이다" 아픈 오늘과 상처뿐인 어제를 피하는 유일한 법은 가장 아프고 가장 상처뿐인 현실 속으로 뛰어드는 것뿐이라는 생각을 이 글을 읽으면서 다시 한 번 했습니다. 자꾸 외면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제 스스로에게 다짐 다짐... 더보기
11월 24일 와락에서의 하루 1. "아저씨 축구하러 가요." 한참 게임을 하던 성동이가 어느 순간 내 손을 잡는다. 딱지 한 장을 기준이가 뺏어갔다고 울고 있는 민석이를 달래는 중이었다. 기준이와 민석이는 형제다. 너무 닮아 누가 기준이인지 누가 민석이인지 헷갈리는데, 게다가 엄마는 어찌된 게 매번 똑같은 옷을 입힌다. "성동아 잠깐만... 민석이 딱지를 기준이가 뺐어갔대. 어떻게 할까?" 기준이가 끼어들었다. "제가 뺏어간게 아니라, 민석이가 저보다 딱지 수가 한 장 많아요. 저희 원래 딱지 수가 똑같아야 하거든요." 나는 왜 딱지수가 똑같아야하는지는 모른다. 다만 똑같아야 한다는데 기준이와 민석이는 모두 동의하는 듯한 얼굴을 보인다. 내가 잽싸게 끼어든다. "그렇다구 기준아, 네가 민석이 딱지 가져가면 이제는 이제 네 딱지 수가.. 더보기
10월 5일 3과 사랑 - Three 관람 평 - 는 새로운 삼각관계를 그린다. 오래된 연인 A와 B가 서로에게 권태를 느낄 즈음 새로운 사람 C가 나타난다. A과 B는 모두 새로운 사람 C와 사랑에 빠지고, 결국 A와 B, B와 C, A와 C는 모두 서로를 사랑하게 된다. 쓰리는 대략 그런 내용이다. 대략적인 얼개는 그렇지만 좀 더 들여다보면 쓰리는 사랑에 대한 많은 질문을 던진다. 사랑은 A와 B 둘만의 상호작용인가? 사랑의 화살표가 1대1로 대응되어야 한다는 것은 인간이 스스로에게 만든 감옥 아닌가? 새로운 사랑의 감정이 기존의 사랑을 대체하는가? 아니면 보완하는가? 새로운 남자 아담이 나타나기 전의 한나와 시몬의 관계, 사실 그 사랑 역시 사랑이었다. 지루하거나 평범한 관계도, 서로 지치도록 싸우는 관계도 아니었다. 둘은 서로에게 최선을 다했고,.. 더보기
9월 27일. 비록 아무것도 없을지라도... 지난 주말 그녀와 주명덕 사진전을 다녀왔다. “비록 아무것도 없을 지라도”라는 부제가 붙은 사진전.. 폐허가 된 공간 속에서 바깥으로 툭 불거져나온 지울 수 없는 흔적들을 발견했다. 전시된 사진보다 전시되지 않은 사진들이 좀 더 날것의 느낌으로 마음을 울렸다. 홀트 고아원에서 작가가 캐어낸 어린 눈빛들, 설움과 그리움과 쓸쓸함이 도드라지게 베여있는 한국의 풍경들, 가장 인상적인 것은 혼혈이라 불리는 아이들. 그 아이들 표정 밑에 담긴 문장들이었다. “섞여진 이름들... 나에게 감정이 없노라고 나에게 웃음과 눈물이 없노라고 세상은 단정짓지 마십시오. 벌써 당신네들이 우리를 생각해 주고 나의 감정들을 받아들여주기 훨씬 그 이전에, 나는, 우리들은 웃음과 눈물의 표현을 목으로 넘겨 버렸습니다.” 작가가 사진으.. 더보기
9월 9일 금요일 녹슨 사랑 30대 중반. 다시 문제는 사랑이다. 어쩌다 이렇게 되었을까? 잠시라도 두드리지 않으면 불안한 사랑의 모서리는 삐걱거리며 어긋난다. 사랑이 일상 속에 녹슬고 있다. 녹슨 틈새로 굳어진 듯한 사랑이 빠져나간다. 잠시라도 깨어있지 않으면 사랑은 그렇게 떠나간다. 어디서부터 문제였을까? 뒤돌아 선 완강한 그림자를 마주하면서 시간이 해결해줄 거라는 느슨한 기대를 포기한다. 이별의 아픔은 시간이 해결해줄 수 있지만. 사랑의 아픔은 시간이 갈수록 커지는 법이다. 아무렇지 않은 듯 천진한 눈빛으로 버티기도 했다. 단호한 못질로 원망도 했다. 느슨한 시선으로 무시도 했다. 이 모든 시간이 쌓이고 쌓여 사랑의 입술을 다물게 한다. 다시 일으키고 싶지만.. 지금은 녹슨 사랑의 모서리를 바라보고 있을 뿐이다. 더보기
박원수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이 글은 격암이라는 분이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박원순 선생님에 대한 글입니다. 이 글을 읽은 박원순 선생님께서 자기보다 자기를 더 잘 서술했다하여 자신의 블로그에 링크 시켜 놓은 글이기도 합니다. 원순c가 궁금하신분들은 조금 길지만 감상해보세요. 출처 : http://blog.daum.net/irepublic/7888008 희망을 심다는 박원순을 지승호가 인터뷰하면서 박원순의 삶에 대해 이야기한 책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박원순이란 누구인지, 무엇이 박원순을 박원순이게 하는지 하는 질문을 가지고 책을 읽었다. 개인으로서의 박원순이 좋고 나쁨을 말하는 수준이전에 박원순이라는 사람이 한국 사회에서 성공하고 실패하는 것, 박원순이 다른 사람과 어떻게 다른가를 생각해 보는 것, 박원순의 행동방식이 어떻게 .. 더보기
2011년 9월 7일 아름다운 삶 아침 내내 원순C 홈페이지를 뒤지고 있습니다. "제가 이렇게 되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이왕 이렇게 된 것 최선을 다해야죠." 이소선 어머님의 빈소를 찾은 박원순 아저씨의 이야기에 눈시울이 빨개졌습니다. “아름다운 삶 사셨습니다. 좋은 세상 만들어가겠습니다.” 좋은 세상 만들어가겠습니다. 좋은 세상 만들어가겠습니다. 좋은 세상 만들어가겠습니다. 원순C가 방명록에 쓴 이야기가 마음을 울립니다. 이 상투적인 이야기가 울림을 주는 것은 글때문이 아닙니다. 삶 때문입니다. 어떻게 살아야할까? 따가운 질문이 가슴을 칩니다. 어제 집에 돌아가는 버스에서 메모장에 초딩들이 쓰는 문장을 끄적거렸습니다. 차마 그 문장을 공개할수는 없지만.. 안철수 1962년생 박원순 1955년생 저는 76년생입니다. 10여년후 나는 어떤.. 더보기
2011년 8월 18일 8월의 쓸쓸함 아주 약간의 여유. 잊혀졌던 지인의 홈페이지에 우연히 들어갔다, 연예시대 마지막회 은호의 독백이 눈에 들어왔다. 행운과 불행은 늘 시간속에 매복하고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달려든다. 우리의 삶은 너무도 약하여서 어느날 문득 장난감처럼 망가지기도 한다. 언젠가는 변하고... 언젠가는 끝날지라도... 그리하여 돌아보면 허무하다고 생각할지라도... 우리는 이 시간을 진심으로 살아갈 수 밖에 없다. 슬퍼하고 기뻐하고 애닳아하면서... 무엇보다도 행복하기를 바라면서.. 고통으로 채워진 시간도 지나고.. 죄책감없이는 돌아볼 수 없는 시간도 지나고.. 희귀한 행복의 시간도 지나고.. 기억되지 않는 수많은 시간을 지나..우리는 여기까지 왔다. 우리는 가끔 싸우기도 하고 가끔은 격렬한 미움을 느끼기도 하고 또 가끔은 .. 더보기
신영복 선생님의 새로운 관계지향 3 21세기 동아시아의 새로운 관계지향을 위하여 1. 논어 자로(子路)편에 있는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의 의미를 다시 생각합니다. 이 구절에 대한 주석은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화(和)는 화목(和睦)의 의미로, 그리고 동(同)은 아첨(阿諂)의 뜻으로 해석합니다. 화는 어긋나지 않는 마음(無乖戾之心), 동은 아부하는 뜻(有阿比之意)을 의미하며 군자는 의(義)를 숭상하기 때문에 동하지 않으며 소인은 이(利)를 숭상하기 때문에 화하지 못한다고 하여 화동(和同)을 교우(交友)의 개념으로 해석합니다.(朱子註) 둘째 화(和)는 서로 다른 것들이 모여서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며 이로부터 풍요로움이 자라고 만물이 생겨난다. 그러나 서로 같은 것들만 모아 놓는 동(同)은 모두 다 못쓰게 되어버린다고 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신영복 선생님의 하방연대 2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처럼 찾아드는 “하방연대” 1. 인문학의 성찰 모든 이론과 실천의 출발점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다. 한 개인의 삶에 있어서든 또는 사회운동에 있어서든 모든 사람은 자신의 정체성에 기반하여 이론을 조직하고 실천을 영위한다. 노동운동에 있어서 가장 취약한 부분 역시 이 정체성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무엇이며 우리는 어떤 삶을 지향하여야 하는가? 이러한 것을 통체적으로 사고하는 것 그것이 바로 인문학적 관점이다. 인문학은 사람과 삶을 중심에 두고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고 변화와 창조를 지향한다. 그런 점에서 인문학은 모든 시대가 갇혀 있는 문맥(文脈)을 깨닫고 벗어나는 최고의 성찰적 관점을 보여준다. 자신의 온당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갇혀 있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