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스쿨/내 맘대로 감상문

2010년 10월 21일 개편 1. 내 안의 의식의 개편. 필요한 건 이거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이 말은 인간을 설명하는 가장 허구적인 문장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 말을 껴안을 때 나는 “내”가 될 수 있다. 생각할 것, 의심할 것, 상상할 것, 사유할 것, 반성할 것, 통찰할 것, 그리고 기존의 묵은 습관을 떠나 보내고, 새로운 나를 실험할 것. 오늘부터 해야 할 일이다. 오늘은 매제 49제. 잘 보내고, 그럼으로써 과거의 나와 결별할 때다. 안녕. 고마웠다. 2. 공간, 사물, 사람 새로운 나를 위해 중요한 것 세 가지. 첫째 공간, 둘째 사물과 사람 공간이란 형체가 희미한 것이다. 이 공간이 형체를 이루는 것은 필히 사람과 사물에 의존한 후다. 눈으로 보면 형체 가운데 뚜렷한 것을 보고, 지혜로서 보면 희미한 .. 더보기
10월 12일. 애도의 시간 번쩍 눈이 떠졌다. 시계는 새벽 4시를 향하고 있다. 이 시간에 수면 위로 떠오르는 또렷한 의식이 당황스럽다. 왜일까? 한 달 넘게 매일같이 중환자실 주변을 서성이다 어제 처음으로 그 서성거림을 멈췄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왔다. 상황이 변해서 돌아온 것은 아니다. 다만 그 상황을 주의깊게 바라보던 나의 시선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중환자실에 누워있는 미도의 의식은 여전히 이 세상을 응시하지 못하고 있지만, 한 달 넘게 중환자 보호자 대기실에서 그를 응시하던 나의 시선이 어떤 이유에서인지 회수당한 것이다. 그리고 맞이한 첫 새벽 4시, 지금 이 시간에 나의 의식을 깨운 것은 무엇일까? 오랜만에 누워본 나의 침대가 어색해서? 그건 이유가 아니다. 새우잠을 자야 하는 중환자실 보호자 대기실에서도 새벽에 잠을 깨.. 더보기
9월 1일. 이유를 찾는 무력함 난 이유를 중요시한다. 어떤 삶에도 이유가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일까? 아무리 힘들고 아픈 상황이 닥치러라도 자기 담론, 자기 이유를 꽤 건강하게 잘 만든다. 무언가 이유가 있을 거야.. 이런 생각은 많은 부분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에 기대고 있는 듯 싶지만 사실 종교적인 느낌, 색채가 짙게 묻어 있다. 그리고 이런 맹목적인 종교적 믿음은 상당부분 내게 많은 것을 가져다 주었다. 가령 부부싸움이 극에 달해 이별을 생각할 만큼 괴로웠던 시간, 그리고 회사로부터 해고통지를 받고 거리에서 피켓을 들고 다니던 시간은 돌이켜 생각하면, 나의 가정과 일과 공부를 좀 더 단단하게 만들어주던 커다란 매듭이었다. 그런데 지금 난 이유를 찾는 나의 모습에 조금은 분노를 느낀다. 누군가 죽음과 싸우는 이 상황에서 “여기에도.. 더보기
나쁜남자, 그 치명적인 매력 뒤엔... 어제 처음으로 나쁜 남자를 꼼꼼하게 봤다. 한 마디로 이 드라마, 김남길을 위한 드라마다. 멋지다. 샘나도록... “나는 세개의 이름이 있다. 부모님이 불러주신 이름 최태성. 해신그룹이 내게 강요한 이름 홍태성. 그리고 내가 어쩔수 없이 선택한 이름 심건욱. 나도 가끔 내가 누군지 모른다. 누가 날 어떤 이름으로 불러줄까.” 세 개의 이름, 세 개의 시간을 넘나들며 이 드라마는 인간의 비루한 욕망과 치명적인 사랑과 어쩔 수 없는 복수를 그려낸다. 이 드라마가 매력적인 것은 김남일의 캐릭터 때문이다. 한 개인을 하나의 개념으로 절단하여 너는 이렇다라고 이야기하는 것, 참 재미없다. 그리고 폭력적이다. 나쁜 남자의 기호 밑에 숨어 있는 수맣은 불균형하고 불안전한 시선, 나쁜 남자인지 좋은 남자인지, 매력적인.. 더보기
위대한 계춘빈, 풋풋한 성장 러브 스토리 위대한 게츠비가 꼭 읽어야 하는 명작(세상에 이런 건 없지만...)인지는 모르겠지만, 위대한 계춘빈은 보면 기분 좋아지는 달콤한 단막극이다. “그녀는 종교다. 한 번 종교를 믿으면, 속세로 돌아가기 힘들다.” (미술치료사 기남) 어렴풋이 들리는 기남의 음성,으로 시작되는 드라마. 흠. 흠. 흠. 이런 생각이 사랑을, 삶을 무지 힘들 게 만드는 건데... 기남의 사랑은, 그리고 우리의 사랑은 때론 이렇게 아프다. 그래서일까? 기남은 말버릇처럼 여친에게 헤어지자고 말한다.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기남에게는 종교와 동급 위치에 자리잡은 그녀가 있다. 그녀는 당근을 싫어하는 기남에게 카레를 해주고는 밤이 되면 신의 집으로 어김없이, 거리낌없이 돌아간다. 그 집에는 기남에게는 종교인 그녀, 그리고 그.. 더보기
7월 1일(화) 2010년 6월 내가 얻은 것과 잃은 것, 그리고... 내 머릿 속에 폴더가 뒤죽박죽 섞여 일상을 메마르게 했던 한 달, 바쁜만큼 얻은 것도, 그만큼 잃은 것도 많은 6월이 지나갔다. 얻은 것이 둔탁한 지식이라면 잃은 것은 내 안의 씨알만한 감성들. 세 개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끝내면서 회사와 연구실과 집 책상에 쌓아 둔 수많은 논문들을 정리했다. 난 논문을 써야만 하는 공간에 한 발을 담그고 있으면서도 참 논문 읽는 것을 싫어하는 놈이다. 왜일까 생각했다. 아마, 제대로 된 주장과 아이디어를 논문에서 발견하기 어려웠기 때문일 게다. 이제껏 그게 세상 탓이라고 생각했다. 적어도 미디어를 둘러싼 논문의 세계, 그 세계는 미디어만큼 치열하지도 새롭지도 않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무시하고, 우습게 여기고 그랬다. 그런데 어쩔 수 없이 프로젝트 보고서를 채워가기 위해 .. 더보기
노희경의 빨강 사탕, 그 사탕 속에 사람도 사랑도 없다. 그랬다. 노희경 작가의 [빨강사탕]을 보고 난 드라마스페셜 홈페이지에 이런 말을 남겼다. 정말일까? 홈페이지에 평을 남기고 집으로 돌아가는 심야버스에서 문득 의문이 들었다. 조금은 심한 평이었다. 사랑도 사람도 없다는 것은 드라마에 대한 전면 부정이다. 꼭 그렇게 부정할 필요는 없었다. 약간은 공감할 수 있는 사랑이었다. 지하철에서 빨강 사탕을 문 예쁜 그녀를 힐끗힐끗 쳐다보는 이재룡의 시선과 나의 시선에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사실 큰 차이 없다. 일상이 뻑뻑하다면, 삶이 힘들다면, 설레임과 긴장과 새로운 관계에 대한 상상, 충분히 성립 가능하다. 사랑은 지성에 대한 상상력의 승리라고 베르나르는 말한다. 이 말은 뒤집어 보면 합리성과 이성으로 사랑의 감정을 이겨낼 수 없다는 거다. 이건 절대 안되는.. 더보기
직설법의 한계,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사극 드라마가 발전한 탓일까... 아니면 내가 이준익이라는 이름에, 원작만화에 기대하는 바가 컸던 탓일까? 한 마디로 지루했다. 사실 어떤 작품을 지루하다고 평하는 것만큼 잔인한 것은 없다. 그만큼 건방진 것도 없다. 지가 만들어봤어? 지가 그만큼 고민해봤어? 그래서 쉽게 지루하다고 평하는 것은 창작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런데 이 영화를 보고 나온 후, 내가 느낀 첫 번째 감정이 지루함이었다는 것, 인정할 수밖에 없는 사실이다. 이것은 설사 이준익 감독이 아니더라도, 그 이전에 추노와 대조영과 선덕여왕 드라마를 보지 않았다 하더라도, 만화가게에 죽치고 앉아 원작 만화인 를 날새며 보지 않았다 하더라도 느낄 감정이었다. 사실 이 감정은 개별적이고 주관적이지만, 어쩌면 가장 개별적인 것.. 더보기
4월 26일 (월) 나비효과. 사랑이란... 토요일 밤 10시 30분쯤 회사를 나왔다. 처갓집에 가기로 한 날. 기차를 타기 위해 영등포역으로 가는 버스를 탔는데... 벚꽃 축제때문일까? 버스는 도저히 여의도를 빠져나가지 못했다. 겨우 영등포역에 도착하니 시간은 11시 30분, 기차는 끊기고, 구로로 가는 1호선 지하철만 달랑 남아 있었다. 신도림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고, 사당으로 가서, 거기서 수원행 좌석버스를 타야쥐! 하는 생각에 룰루랄라 구로행 지하철을 탔는데, 신도림에 도착하는 순간 모든 지하철이 끊겼다. 젠장... 여기서부터 신기한 구경, 신도림역을 빠져나가는데, 수백명의 사람들이 신도림역으로 뛰어들어가고,(막차에 대한 실낱같은 희망을 가진 사람들) 또 수백명의 사람들이 신도림역으로부터 빠져나가고... 역 주변에는 “인천!”, “부평!”을.. 더보기
사운드박스와 김예슬! 나를 흥분시킨 두 젊음 오랜만에 나를 흥분시키는 젊은 놈들을 만났다. 사운드박스. 단 한 번의 만남으로 난 그들에게 매료됐고, 완벽하게 그들의 팬이 되었다. 그들은 길거리 뮤지션이다. 한마디로 유목민이고 무소속주의자들이다. 기획사도 없고, 단지 싸이월드에 카페 하나 달랑 있을 뿐이다. 뮤직뱅크에서 부를 일은 예전에도 앞으로도 없을 것 같지만, 홍대 놀이터에 가면 가끔은 그들을 만날 수 있다. (여기까지는 그냥 일반적 소개이고...) 사실... 기타 치고, 베이스 뚱까뚱까 하는 것, 누구나는 아니지만 아무나 할 수 있다. 드럼이야 교회 열심히 다니는 친구들이면 한 번쯤 두들겨본 기억이 있을테고, 노래야 한국인이라면 다 18번 몇 곡씩 있는 법이고, 조금 어려워보이는 게 탭댄스와 비트박스인데, 이것 역시 지들끼리 배틀하는 것 보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