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스쿨/내 맘대로 감상문

노희경의 빨강 사탕, 그 사탕 속에 사람도 사랑도 없다.

출처 : 10아시아


그랬다. 노희경 작가의 [빨강사탕]을 보고 난 드라마스페셜 홈페이지에 이런 말을 남겼다. 정말일까? 홈페이지에 평을 남기고 집으로 돌아가는 심야버스에서 문득 의문이 들었다. 조금은 심한 평이었다. 사랑도 사람도 없다는 것은 드라마에 대한 전면 부정이다. 꼭 그렇게 부정할 필요는 없었다. 약간은 공감할 수 있는 사랑이었다. 지하철에서 빨강 사탕을 문 예쁜 그녀를 힐끗힐끗 쳐다보는 이재룡의 시선과 나의 시선에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사실 큰 차이 없다. 일상이 뻑뻑하다면, 삶이 힘들다면, 설레임과 긴장과 새로운 관계에 대한 상상, 충분히 성립 가능하다. 사랑은 지성에 대한 상상력의 승리라고 베르나르는 말한다. 이 말은 뒤집어 보면 합리성과 이성으로 사랑의 감정을 이겨낼 수 없다는 거다. 이건 절대 안되는 사랑이야,라고 머리는 말하지만, 가슴은 이미 그 사랑으로 쿵쾅쿵쾅 뛴다는 거다. 빨강사탕의 그녀에 대한 이재룡의 감정은 그래서 조금은 진심이다.

그런데 이 드라마에서 사람과 사랑이 드러나는 것은 딱 이 수준까지다. 이 작품의 포커스는 온전히 유부남, 출판사 영업사업, 두 아이의 아빠인 이재룡의 사랑이다. 그 주변에 머물러 있는 사랑, 하물며 이재룡이 사랑했던, 그러나 일상이 되어버린 김여진(부인)과 그를 들뜨게 만든 사랑, 사랑하고 싶고, 사랑할 것 같은 박시연의 사랑도 제대로 이야기되지 않는다.

이게 단막극이기 어쩔 수 없었다는 것은 핑계다.
캐릭터를 만든 창작자는 당연하게도 자신이 만든 캐릭터를 사랑할 수밖에 없고, 책임질 수밖에 없다. 사실 모두가 작가가 될 수 있지만, 모두가 노희경과 같은 작가가 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내가 누구인지도 잘 모르겠는데, 어떻게 다른 사람의 심리, 내면, 상처까지 핀셋으로 꼭 집어 이해할 수 있단 말인가? 근데 노희경은 조금은 아는 것 같았다. 자신을 알고, 자신을 사랑하는 누군가를 알고, 그 누군가의 어머니를 알고, 그 어머니를 사랑하는 누군가를 알고 있는 듯 싶었다. 여기저기 어디선가 있을 법한 누군가의 상처, 사랑, 아픔, 그 침묵의 이야기를 하나 둘 끄집어 내서, 나로 하여금 깊게 고개 끄덕이게 만드는 것, 나도 참 아프지만, 너도 아프고, 결국 우리 모두가 작은 상처 하나씩 가지고 살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것, 그게 내가 그녀의 작품에 깊게 호응했던 이유였다. 그런데 이 드라마에서 노희경 작가는 어찌된 이유인지 오직 이재룡의 사랑만 응시한다. 그 주변의 사람, 사랑, 모두 거세됐고, 그럼으로써 사랑의 양 축이 제대로 기워지지 않는다. 그러다보니 이재룡이 말하는 사랑, 빨강사탕을 문 김여진이 말하는 사랑도 상투적이고 추상적일 수밖에 없다.

“이 안개 속으로 우리 둘이 사라져버리면 어떻게 될까. 눈치 볼 마누라도, 키우기 힘든 아이들도, 마음 아픈 어머니도, 지겨운 회사 동료도 없는 그렇게 전혀 다른 세상으로 말이야.” (이재룡이 김여진에게)
“나는 당신 마음에 드는 짓만 할 거니까 그러니까 버리지 말아요” (김여진이 이재룡에게)

원래 현실에서 너무도 흔하게 말해지고 듣게 되는 사랑은 상투적이고 비루하고 비겁하다. 언어가 오염되었다고 해서, 인간이 욕망하고 꿈꾸는 사랑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드라마를, 영화를, 소설을 보는지도 모른다. 내가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사랑의 어떤 고갱이를 발견하기 위해서... 그런데 빨강사탕이 그리는 드라마는 현실에서 흔히 보게 되는 상투적이고 통속적인 사랑의 언어를 넘어서지 못한다. 이런 사랑은 작가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가장 찌질한 방식으로 쫑나기 마련이다. 마치 우리의 현실처럼... 김여진의 삶에 대한 확인되지 않은 추잡한 소문들, 그녀가 화냥년이라는 남자들의 추잡한 소문에 사람도 사랑도 뒤틀린다. 이런 사랑에는 사랑이라는 말만 있을 뿐, 정작 사랑이 자리하는 공간은 없다. 언어가 상투적이면, 그 언어로 표현되는 사랑 역시 통속적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통속적인 사랑은 가장 통속적인 이유로 쫑나기 마련이다. 

사랑이란 뭘까? 우리는 누군가를 사랑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알고보면 실제로 우리가 사랑하는 것은 우리를 바라보는 상대의 시선인지 모른다. (빨강사탕이 이재룡을 사랑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는 사랑이라는 것은 현실의 피곤함과 남루함에 대한 돌파구인지도 모른다. (이것이 이재룡이 빨강사탕을 사랑하는 이유다) 그런데 정말 사랑이란 고작 그런 것일까? 그렇다면 사랑은 언제든, 누구를 만나든 걸레 조각처럼 너절해질 수밖에 없는 것 아닐까? 그냥 아무렇지 않게 사랑이라는 언어를 쓰는게 조심스러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랑하는 마음이 진심이라면, 그냥 심심하게 “사랑한다”고 말하지 않는다,고 나는 믿는다. 그리고 “그녀가 화냥년이래”라는 소문에 의해서도 무너지지도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그런 의미에서 신데렐라 언니의 김갑수는 짱 멋진 놈이다. 적어도 사랑에 있어서는...) 자기 마음을 담아 전할 표현을 고심하고, 소문 정도는 퉁 치고 넘어간다.

드라마는 통속적일 수 있다. 노희경도 때론 상투적일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삶 속에서 사랑만큼은 통속적이어서도 상투적이어서도 안되는 것 아닐까? 적어도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사랑에 무던해지는 순간, 사랑이 통속적이 되는 순간, 누군가와 헤어지는 것을 넘어서, 내 안의 사랑이, 지성을 이겨내는 상상력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랑을 한다는 것은, 엄청난 에너지와 상상력이 필요한 거다. 일상으로 사랑이 추락할 때, 그것으로 사랑은 더 이상 새롭지도 흥분되지도 않는 어떤 것이 된다. 가만있으면 사랑은 결국 그렇게 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사랑에는  부지런함이 필요하다. 분발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