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을 가볍게 넘어서기 - 고병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제 방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책이 니체전집입니다. 언어의 기원에 관하여, 비극의 탄생-반시대적 고찰,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바이로이트의 리하르트 바그너 유고,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등. 물론 제대로 읽은 것은 한 권도 없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체를 가장 눈에 잘 띄는, 책장 제일 위쪽 오른편에 꽂아 놓은 것은, 언젠가는 만나고 싶고, 대화하고 싶은 사람이기 때문이죠. 그를 만난다는 것은 스승으로부터 고개 끄덕이며 배우는 것과 차원이 다른 이야기로의 진입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겁이 나죠. 니체와 이야기를 나누겠다는 것은, 과거의 나와 단절하겠다는 의미이면서, 동시에 나와 나의 전쟁을 시작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거든요. 적어도 여기 저기서 들은 니체의 이야기를 조합하면 그렇다는 겁니.. 더보기
맑스가 Mediation을 이야기 한다면? - Livingstone (2009) On the Mediation of everything. 학교에서 배우는 것을 굳이 블로그에 옮길 이유는 없지만, 뭐~ 여기에 기록해두면 숙제로 내버리고 어디론가 사라져버릴 것 같지는 않아서, 앞으로는 조금씩 흔적을 남겨야겠다. “There is no pure experience prior to mediation' 리빙스톤의 ‘On the Mediation of Everything’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문장, 그러나 여러 가지 질문이 쏟아지게 만들었던 문장. 과연 그럴까, 그렇다면 이 의미는 무엇일까, 이 문장을 보면서 요즘 읽고 있는 ‘자본을 넘어선 자본(이진경, 2004)’이 오버랩되었다는... 이 책은 맑스의 대표 저작 자본에 대한 이야기다. 맑스가 서술한 ‘자본’이 아니라, 이진경이 공부한 맑스의 ‘자본’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까? 만약 리빙스톤의 저 .. 더보기
신정아와 우리 사회가 고개를 들 수 있는 유일한 방법론 - 4001을 본 소회 1. 4001. 정아씨가 1년 6개월간 가슴에 달고 있었던 수인번호. 4001을 달고, 여론의 뭇매를 마지면서, 그녀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억울함, 배신감, 분노, 절망, 좌절,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아픈 감정의 밑바닥까지 다 겪었을 듯 싶다. 그것은 그녀가 살아온 지난 시간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이 시대의 언론이 과도하게 그녀를 상품화시켜 융단 폭격을 한 결과이기도 하다. 정아라는 이름이 대중의 관심에서 조금씩 빗겨가면서, 그녀는 작정하고 글을 쓰기 시작했다. 토해내지 않으면 화병이 날 것 같은 마음,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들에게 복수를 하겠다는 의지, 공적인 영역에서 제대로 인정받고 싶은 욕망이 섞여 4001은 탄생했다. 나는 그녀의 마음과 의지, 그리고 욕망을 존중한다. 그것은 언젠가 시간이 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