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영복 선생님의 하방연대 2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처럼 찾아드는 “하방연대” 1. 인문학의 성찰 모든 이론과 실천의 출발점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다. 한 개인의 삶에 있어서든 또는 사회운동에 있어서든 모든 사람은 자신의 정체성에 기반하여 이론을 조직하고 실천을 영위한다. 노동운동에 있어서 가장 취약한 부분 역시 이 정체성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무엇이며 우리는 어떤 삶을 지향하여야 하는가? 이러한 것을 통체적으로 사고하는 것 그것이 바로 인문학적 관점이다. 인문학은 사람과 삶을 중심에 두고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고 변화와 창조를 지향한다. 그런 점에서 인문학은 모든 시대가 갇혀 있는 문맥(文脈)을 깨닫고 벗어나는 최고의 성찰적 관점을 보여준다. 자신의 온당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갇혀 있는.. 더보기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 1 출처 : "진보의 연대, 명망가 중심 뛰어넘어야" - 오마이뉴스 (2011년 4월 27일) ▲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 ⓒ 유성호 신영복 - 사실 요즘 다들 너무 어렵게 살잖아요? '변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상당히 넓은 것 같은데, 변화가 있더라도 '어떤' 변화여야 한다는 방향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의 일본 지진과 쓰나미 충격은 엄청난 사변입니다. 그런데 활성단층이 지판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도 활성단층이 있다고 봐요.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엄청난 문제들은 사회적 활성단층의 조짐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들거든요. 그래서 이런 문제들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 거냐? 물론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서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내면 좋지만 지금까지의 정부 대응으로 봐서는 근본적인 변화를 기대할 .. 더보기
블로그, 소통, 연대, 대안에 대한 주절주절 1. 블로그. 블로그는 누군가와 소통하는 창구라기 보다는 나를 표현하는 장이 아닐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장에서 누군가와 이야기할 수 있을까? 그런 네트워크가 가능할까? 블로그는 한마디로 자기 과시의 장이거나 자기 표현의 장이면서, 동시에 타인을 품평하는 장이기도 하다. 사실 이 공간은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기보다는 수만개의 일방향 소통이 촘촘하게 자리잡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여기에서의 연대 정말 가능하다고 생각해? 설마... 2. 안내상. 어제 승승장구에 안내상이 출연했다. 초등학교 시절, 그를 변화시킨 것, 그것은 교회 선생님의 관심이었다. 한 사람의 작은 관심이 한 사람의 삶을 송두리째 변화시키기도 한다. 이 관심과 관심의 연대가 온라인에서도 가능할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지만, 어쩌면 현실공간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