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작가 김연수 1. Preview 김연수의 글은 꼭꼭 씹어먹는 맛이 있다. 그 맛이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어쩌면 스스로를 문헌보관소로 삼는 글쓰기 방식, 어쩌면 그가 삶을 바라보는 관점, 원본으로서의 삶을 부정하고 스스로를 유령작가로 호명하는 바로 그 관점, 어쩌면 쉬임없이 운동하고 변화하는 여행자의 마음. 바로 거기에 김연수 작가의 매력이 있는 것이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든다. 삶이 아름다운가? 인간이 아름다운가? 이들이 지향하는 세계에 희망이 있는가? 이런 질문을 버리고, 오직 길을 걷고, 책을 읽고, 노래를 부르는 작가. 2. History 1970년생. 본명은 김영수. 경상북도 김천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3학년인 1993년, 계간 《작가세계》 여름호에 시〈강화에 대하여.. 더보기 관계의 위기,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사회는 내게 완전히 자유를 주는 척하지만 막상 선택권은 제한되어 있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많지 않다. 현실은 이래저래 갈등적이지만 진실은 심플하다. 그래서 노래가사가 모두 진부한 거다. 외로워도 힘내자. 아파도 Keep Going! 그런데 말은 심플해도, 삶은 복잡하다. 그게 늘 문제다. 요즘 공간, 도시에 대해 공부 중인데 독일의 사회학자인 짐멜이라는 사람이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인간은 목적성을 가진 동물이다. 사람들은 목표를 정하고 성취하기 위해 도구를 만들어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애초에 수단이었지만, 심리적으로는 목적이 되어버리는 돈에 점점 더 많이 의존하게 된다. 화폐는 목표가 된 수단의 가장 극단적인 일례다. 이제 (도시) 사람들은 돈을 벌기 위해 산다. 그들은 계산적이고 .. 더보기 슬라보예 지젝 "투쟁을 멈추지 말아라. 당신들이 우리 모두의 희망이다." # 20120629 슬라보예 지젝 세계적인 석학 슬라보예 지젝(Slavoj zizek)이 대한문 쌍용차 분향소를 찾았다 지젝은 분향소 방명록에 “투쟁을 멈추지 마십시오, 당신들이 우리 모두의 ‘희망’입니다”라는문장을 남겼다 배경 옛 유고슬라비아연방에 속했던 슬로베니아 출신. 옛 유고연방은 자본주의 서구와 공산주의 소련 사이의 완충지대. 소련의 완전한 종속국도, 서구에 가까운 나라도 아니었음. 실상은 이 두 지역의 혼합체였다. 티토가 사망하고 소련이 무력화한 뒤 유고연방은 여러 민족단위로 해체됐고, 1990년대에 유고내전이라는 참혹한 전쟁을 겪음. 지젝이 철학을 공부한 곳은 슬로베니아 수도의 류블랴나대학. 정치적·지리적 중간지대였던 이곳은 소련의 공식철학보다는 서유럽의 철학에 더 친숙한 곳이었음. 지젝은 .. 더보기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