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의 즐거움/유목과 제국

[반중국역사] 2부 몸이 문명을 만든다



<반 중국역사> 3장에서 5장은 기원전 7세기 스키타이에서 서기 13세기 몽골제국까지 장장 2,000년에 걸친 초원의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정말 많은 민족과 제국이 나옵니다. 스키타이와 흉노(3), 유연, 투르크 제국과 탁발/선비계의 당나라, 위구르, 티베트제국과 서투르키스탄(4), 키타이(거란)가 세운 요와 탕구트 왕조(대하제국), 마지막으로 원나라까지(5).

 

고등학교 세계사 수업에서 배운 이 시간을 관통하는 동아시아가 어디었나 찾아보니, 춘추전국시대, 진한

(위진남북조 시대), 수당, (오대십국 시대), 송나라였습니다. 교실에서 들은 이야기, 그래서 바로 까먹은 이야기는 이 책에서 아주 짧게 언급되거나 유목민족과의 관계 속에서 설명됩니다. <반중국 역사>는 정말 반중국 적인 거입니다. 작가 양하이잉은 유목을 사랑합니다. 그래서 이거 객관적이지 않아!라고 이야기해봤자 그다지 설득이 안될 것 같습니다. 사랑하는데 무슨 객관일까요? 그리고 바로 그 지점에서 저는 이 책이 꽤 낯설었습니다.

 

안으로 들어가 보면 우선 3장은 기원전 7세기에서 기원후 3세기에 이르기까지 스키타이, 흉노, 그리고 한나라를 이야기합니다. 유목민의 선구자, 스키타이와 흉노는 공통점이 많습니다. 우선 말타기의 선수들이고, 용맹하게 적진 앞으로 외치고 말을 달려도, 전투에서 형세가 불리하다고 판단하면 즉시 철수하거나 백기를 듭니다. 철수와 투항은 유목민에게 불명예스러운 일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유교적 가치관이 짙게 묻은 정주민으로서는 흥미로운 부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 유연함 때문일까요? 나가고 돌아가고, 깃발을 들고 놓고, 합치고 흩어지면서 이들은 동쪽으로 몽골 고원에서 서쪽으로 흑해 연안까지를 말 달립니다. 웅장한 유라시아 공간을 자신의 배경으로 삼는 것입니다.

 

스키타이와 흉노가 말을 타고 동에서 서로 달릴 때, 진나라 진시황제는 열심히 만리장성을 쌓습니다. 확실히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중원의 DNA는 유목과 다릅니다. 이들의 관심사는 내 땅이 어디까지인지 경계입니다. 영토 확정. 사실 이것은 국민국가에 익숙한 우리에게는 익숙한 풍경이지만 이 당시만 하더라도 전혀 당연하게 아니었습니다. 당시의 로마대제국만 보더라도 영토를 확정짓겠다는 생각은 없었습니다. 그냥 평원 너머 저 멀리까지가 나의 것이고, 거기 살던 사람이 그걸 인정하면 그 사람을 영주로 삼으면 되는 거였습니다. 아니면 싸워서 빼앗든가. 내 땅의 경계를 확실히 하기 위해 만리장성을 쌓는다든지, 성으로 나의 나와바리를 애워싸야 한다든지, 그런 생각은 없었던 것이지요. 동양에서 서양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관료행정제가 자리잡은 것은 영토를 확정하겠다는 생각에서 자리 잡은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한족이 자신의 경계를 확정짓고, 그 안에서 통치와 행정에 관심을 둘 때, 유목민들은 끊임없어 이동하고 넓어지고 확장했습니다. 그런데 이 이동에 흥미로운 규칙성이 있다. 동에서 서로, 편서풍이 늘 서에서 동으로 부는 것처럼 유목민의 이동선은 묘하게도 동에서 서로 향한다. 스키타이, 흉노, 투르크까지.. 누군가는 이들을 중국의 변방 정도로만 알고 있겠지만 이동선의 스케일이 다릅니다. 그 웅장함과 자유로움과 저돌성에 만리장성 안쪽의 정주민들은 일종의 부러움과 두려움을 느끼지 않았을까요? 실제 당시 중원을 지배하던 한나라는 흉노족에게 공물을 바치며 제발 그들의 말발굽이 남쪽으로 향하지 않기를 바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기원 후 6세기에서 10세기까지는 다루는 4장의 제목은 이렇습니다. “당나라는 한족의 국가가 아니었다.” 정말 저자는 반중국적이죠? 당나라를 한족의 국가가 아니라고 하다니. 그럼 무슨 족의 국가란 말일까요? 유목민의 한 계열인 선비계 탁발족이 당의 뿌리라고 합니다. 그런데 당시 유목세계의 강자 투르크족들은 이들을 유목의 양아치 정도로 치부하곤 하는데요, 깔끔하게 지나화(여기서 지나는 진나라를 의미하는데, 한족이라 보면 됩니다)되었다는 게 그 이유죠. 저자 역시 탁발족에는 관심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야기는 줄곧 투르크족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전 투르크 하면 왠지 오스만투르크가 생각나고 그래서 아랍이나 서아시아 어디선가에서 발흥한 유목민으로 알았는데 그게 아니더라구요. 투르크는 지금의 몽골 고원 중앙부 항가이 산맥 부근, 오투켄이라 부르는 땅에서 생겨났다고 하는데요. 이 땅은 흉노 때부터 몽골에 이르기까지 유목민이 핵심으로 삼은 지역이라고 합니다. 알고 보니 이 지역은 정말 정말 아름다운 곳이라 하더군요. 이 책을 함께 읽는 한 사업가는 몽골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이곳을 꼽더라구요. 언젠가 꼭 가봐야지, 하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이곳에서 시작하여 투르크족은 552년 귀족 아시나씨를 중심으로 동쪽으로 발해만에서 서쪽으로 카스피해까지 대제국을 건설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대제국은 얼마가지 못합니다. 동투르크와 서투르크로 분열했다, 당나라의 지배를 받기도 하며, 서서히 멸망하는데요, 그 바톤을 이어받은 것은 또다른 유목민 위구르였습니다. 8세기 유라시아에서 위구르의 위세는 정말 대단했는데요, 오죽하면 당나라가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사상자를 낸 안록산의 난을 해결하기 위해 위구르에 SOS를 칠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위구르의 힘 역시 그리 오래 가지 못하는데요, 9세기 중반 자연재해(폭설)와 내란이 겹치면서 북쪽 예니세이강 근처에 살던 키르기스에 의해 멸망했다고 합니다. 어떠세요? 한반도에서 통일신라가 아웅다웅 아기자기하게 살고 있을 때 유라시아 초원은 거대한 힘과 힘의 대결장이자, 이동과 충돌과 변화의 공간이었습니다. 어떤 특정한 민족과 국가의 시대로 이름 붙이기 어렵고, 서로가 섞이고, 경쟁하고, 탄생하고, 성장하고, 소멸하면서 한마디로 정리하기 힘든 초원의 역사를 만들어내고 있는 거였습니다. 이 힘은 야생적이고 역동적면서도 어느 한 공간에서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나라-당나라-송나라-명나라로 이어지는 중원이 땅의 감각으로 세상을 확정하고 그 안에서 관료제와 관리의 감각을 키워갔다면, 스키타이-흉노-투르크-위구르-거란-여진-몽골로 이어지는 중앙아시아 초원과 사막은 이동의 감각으로 세상을 유목하며 그 안에서 공유와 융합, 혼종의 감각을 키워갔다는 생각이 듭니다.



5장은 10세기에서 13세기의 유라시아 초원의 역사가 그려지는데요, 예상하겠지만 또 다른 유목민들이 등장합다. 몽골계 키타이(거란)가 세운 요(916~1125)와 탕구트의 대하(서하)입니다. 이 시절의 요나라는 최전성기에 동쪽으로는 발해, 서쪽은 파미르 고원, 북쪽은 몽골 고원, 남쪽은 황허 유역까지 광대한 땅을 통치했는데요, 절반은 유목민이고 절반은 지나인 농민이 차지했다고 합니다. 탕구트 왕조의 탄생은 황소의 난(875~884)을 계기로 당나라가 쇠퇴한 사실과 관련이 있는데, 당나라는 이번에도 내부의 민중봉기를 제압하기 위해 외부 유목민(오르도스에 있던 탁발계)에게 손을 빌리고, 이에 대한 고마움으로 하주의 탁발 집단에게 이씨 성과 관직(정난절도사)을 주는데요, 이 탁발계가 주변 티베트 집단을 끌어들이면서 대하 제국이 탄생했다고 합니다. 이들 역시 수명이 길지는 않습니다. 거란의 요나라는 1125년 여진 금나라에 멸망했고, 1227년 대하제국은 칭기즈칸이 집어삼켰으며, 1234년 금나라 역시 몽골에 의해 멸망합니다. 그 사이 중원의 주인공은 당에서 송나라로 바뀌었는데요, 목민의 진퇴에 따라 북송시대와 남송시대로 구분되었으며, 남송 역시 1279년 몽골군에 의해 멸망합니다. 그러니깐 13세기 유라시아는 복잡했던 유목민족의 진퇴양난이 몽골=칭기스칸=원나라에 의해 수렴되는 거죠. 그리고 저자는 강조합니다. 이 수렴의 핵심 무기는 관용과 다양성이다! 모든 문화, 언어, 종교를 다 인정하고 블랙홀처럼 빨아들인다는 것이지요.

     

<반 중국역사> 3장에서 5장은 개인적으로 따라가기 바빴습니다. 따라가기 바빴다는 것은 그만큼 초원의 관계망은 복잡했고, 저자의 유목에 대한 과도한 애정이 조금은 불편하게 다가서기도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유라시아 유목의 역사를 한 번 공부하겠다 하는 사람에게는 좋은 레퍼런스가 됩니다. 무엇보다 일방적으로 유목을 애정하는 저자의 스타일이 곧 유목민의 특징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좋아하면 누가 뭐라든 난 표현한다!”


그리고 유목민들이 초원 지대를 배경으로 중원의 한족들이 황허, 양쯔강 농경 지대에 자리 잡고, 이 위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방식으로, 동에서 서로 이동하고, 후퇴하고, 공격하는 모습을 보면서 어쩌면 유목민의 성향과 정주민의 성향은 적어도 유라시아 지역에서는 신체성의 차이에 기인하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함께 이 책을 읽는 학인이 이 이야기를 하는데 가장 강하게 고개를 끄덕였다는). 유제품, 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유목민과 쌀을 주식으로 하는 정주민 사이에 다른 성격과 기질을 가질 수박에 없게 되고, 이게 문명의 차이로 이어진다는 것이지요. 몸이 문명을 만든다! 제게는 매우 매력적인 명제입니다. 또한 관계적으로 봤을 때 정주의 스케일이 있어야 유목의 스케일이 가능하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이 생각 역시 제가 한 이야기가 아니라, 함께 이 책을 읽은 학인의 이야기... 그리하여 책은 함께 읽는 게 좋다니깐요). 송나라를 넘어서야만 가능했던 유목 문명이 곧 원나라이고, 명나라를 넘어서야만 가능했던 유목 문명이 곧 청나라였던 것이지요. 기존의 정주 문명과 상대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역량이 필요했다는 것이지요.


정리를 하고 보니 이 책은 꽤 밀도있는 책이란 생각 듭니다. 장장 2000년의 시간을 100여 페이지에 정리를 했으니... 책장을 덮으면서 이 세 가지만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첫째, 삶이 서울에 고정되면 쪼잔해지기 쉽다. 나의 삶의 서울에 확정짓지 말자! 둘째, 무엇을 이해하고자 할 때 관계적 관점에서 부감에서 관찰하면 좀 더 풍부한 상상과 서사가 가능하다. 셋째, 괜히 경계를 두지 말고, 괜히 미워하지 말고 다양성과 관용의 힘을 믿자. 넷째, 유목 반 정주 반, 반반의 DNA를 만들자.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유목을 좀 더 나의 것으로 삼자. 정주는 원하지 않더라도 한반도 한 골짜기에 붙박혀있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