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 왕눈이 # 20120602-1 개구리 왕눈이 6월 2일. 토요일 양평에서 자기 목소리를 듣는 작은 음악회가 명수혜신 선생님 댁에서 있었다. 지금까지도 자꾸 입가에 맴도는 개구리소년... 비바람 몰아쳐도 이겨내고 일곱 번 넘너져도 일어나라. @ 작품 후지TV, 1973년작. 다쓰노코프로덕션 가난하고 어린 개구리 왕눈이와 그의 여자친구 아롬이, 무지개 연못의 권력자 투투(아롬이의 아버지), 투투의 부하인 가재, 보이지 않는 힘을 발휘하는 메기 등을 중심으로 무지개 연못에서 펼쳐지는 이야기. 계급간의 갈등과 계급을 초월하는 사랑, 권력가의 횡포, 그리고 보이지 않는 힘을 발휘하는 권력 등 딱딱하고 무거운 주제를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으로 쉽게 풀어낸 명작. @ 캐릭터 왕눈이(데메탄)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서 개구리들 중에.. 더보기 SBS 수목드라마 유령 # 120601-1 유령 SBS 수목드라마 . 우리가 사는 또 다른 세상에 대한 이야기. 트윗 9만 8천개, 블로그 포스팅 1천 500개, 이메일 1억 6천 600만통, 유투브 동영상 600개 업로드, 구글 검색 69만 4천 445개. 사이버 세계에서 1분마다 일어나는 일. 우리가 창조했지만, 이제는 우리의 현실을 뒤훈드는 또 다른 세상. 우리가 누른 한 번의 클릭이 어떻게 우리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오는지 심지어 누군가의 생명을 어떻게 앗아가는지. 모니터 뒤의 섬뜩한 이면과 가려진 진실에 대한 이야기. 출연진. 김우현(소지섭) 0과 1 사이에 감춰진 증거를 찾는 사이버수사 1팀장. 친구를 왕따시켜 자살로 내몬 가해학생들의 삭제한 문자기록들, 연쇄살인범이 훔친 개인정보들, 부인을 처참하게 살해한 교수와 내연.. 더보기 방송의 역사적 지식체계의 한계와 대안적 접근. (조항제, 2006) 조항제 (2006). 방송의 역사적 지식체계의 한계와 대안적 접근 : 한국방송사를 위한 논의와 제안. 언론과 사회, 14권 4호, P 2~36. ▢ 주요 내용 1. 문제의 제기 역사는 과거 자체가 아니고 과거에 대한 하나의 지식체계다. 다양한 역사적 지식들(Histories)의 경합의 결과이고, 그 역사들은 내러티브이자 현재를 반영한 이론이나 가설적 추론일 수 있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방송사는 매우 큰 약점이 있다. 우선 방송조직이 권력의 ‘후견’ 속에서 성장해 방송사에서 차지하는 정치권력의 비중이 너무 크다. 더구나 한국방송에는 프로그램이 거의 남아 있지 않고 연구자의 접근도 쉽지 않아 이를 극복하기도 어렵다. 꼭 이를 지칭한 것은 아니지만 코너의 “텍스트 없는 콘텍스트의 역사”(Cor.. 더보기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