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스쿨/독서일기

[2018년 책] 8. 나의 자존감 지지대는 무엇인가? 엄마의 자존감 공부



스타강사 김미경씨의 이야기네요. 아니 김미경씨 아이들은 이미 다 크지 않았을까? 이런 의문이 들기도 한 부모교육서인데요, 내용이 다분히 알차보입니다. 왜냐하면 개인적인 경험과 아쉬움들이 글에 묻어 있기 때문이죠. 이 책의 소개 문구를 볼까요? 


아이 키우는 것만큼 힘든 일이 없다. 하루에도 지옥과 천당을 백 번쯤 오간다. 매일 최선을 다한다지만, 가끔 돌아보면 내가 아이를 망치고 있는 건 아닐까 흔들린다. 미안한 일이 떠오른다. 아이가 잘못되면 내 잘못 같다. 김미경이 만난 전국 수만 명의 엄마들은 모두 같았다. 어떻게 키워야 잘 키우는 걸까? 나는 과연 좋은 엄마일까? 대체 부모 노릇이란 무엇일까? 질문이 끝도 없다오늘도 수많은 엄마들이 답 없는 고민을 품고 앓고 있다. 김미경에게도 초보 엄마 시절이 있었다. 세 아이를 키우며 엄마 노릇한 지 어느덧 28. 전국의 강연장에서 수많은 엄마들의 등을 쓸어내리며 토닥이며 나눈 진솔한 이야기, 정답을 몰라 흔들리는 엄마들에게 던져줄 해답을 신작 엄마의 자존감 공부에 담았다.



사실 스타강사하면 왠지 색안경을 끼고 보게되기도 하는데요, 자 편견은 접고 그녀의 목소리를 들어보죠.

  

엄마는 아이보다 나이를 더 먹어서 든든한 게 아니다. 아이보다 두둑한 자존감 나이를 먹어서 든든한 것이다. 든든한 엄마를 둔 자녀와 빈약한 엄마를 둔 자녀는 어렸을 때부터 삶을 대하는 기본자세가 다르다. 아이가 매사 자신감이 없고 무기력하다면 엄마인 나의 자존감 나이를 먼저 들여다봐야 한다. ‘내 자존감 나이는 과연 몇 살인가?’ (엄마의 자존감 공부232)

 

자존감 나이는 신체 나이와 비례하지 않는다. 때로는 엄마의 자존감 나이가 아이보다 더 어린 경우도 있다. 아이가 문제 상황과 맞닥뜨렸을 때, 이 엄마들은 아이보다 더 두려워하면서 어쩔 줄 모르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아이들은 자존감 지지대를 잃고 만다.

 

자존감 지지대라는 말이 참 좋은 것 같습니다. 근데 이런 의문도 들어요. 엄마, 아빠의 과도한 자존감이 아이들에게 오히려 악영향을 끼치진 않을까? "넌 그것도 못하니?" 자신이 잣대에 맞게 아이들을 판단하고 평가하지는 않을까? 이에 대해 김미경 작가는 이런 말을 합니다. 


"아이들이 인생에서 힘든 일을 겪을 수 있거든요. 그때 엄마들의 자존감 텃밭이 두터워야 돼요. 아이가 힘들 때, 바닥을 칠 때, 내 텃밭에 있는 흙을 퍼다 아이한테 넣어줘야 되잖아요. 그래야 아이가 살죠. 그러니까 엄마는 아이를 낳은 순간부터 자존감이 충만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공부해야 돼요."


자기를 존중하는 힘이 클수록 사랑하는 자녀들에게 그 힘을 선물할 수 있다는 건데요. 외부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부모의 자존감이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돌파해 나갈 든든한 지지대가 되는 거니깐요. 그렇다면 부모가 어떻게 자기를 존중하는 힘을 키울 수 있을까요?  


엄마의 자존감은 외부에서 끌어다 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안에 두고 수시로 꺼내 쓸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괜찮은 사람이라고 느낄 수 있는 대상이 있어야 하는데, 저자는 이를 일컬어 자존감 과목이라 말한다. “그걸 하는 동안은 스트레스 받지 않고 몰입할 수 있고 친구처럼 지낼 수 있는 나만의 자존감 과목이 적어도 두 개는 필요하다는 것. 그 대상은 먼 곳에 있지 않다. 살림하는 공간 속에서도 요리를 하고, 아이들 옷을 만들고, 화초를 기르면서도 얼마든지 자존감을 키울 수 있다. “나만의 자존감 과목을 계속 키워가다 보면 나중엔 그것이 내 든든한 자존감 지지대가 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자존감 과목을 키워야 한다는 말이 참 인상적입니다. 그렇다면 김미경 강사의 자존감 과목은 무엇일까요? 


"저에게도 두 가지 자존감 지지대가 있어요. 하나는 옷을 만드는 거예요. 옷을 만들면서 매일 제가 성장하는 거거든요. 4년 동안 옷을 만들면서 제가 정말 괜찮은 사람이라고 느꼈어요. 내년에는 비영리 패션브랜드 리리킴에서 패션쇼를 해요. 미혼 엄마들과 ‘Brave Girls’라는 캠페인을 할 거예요. 제가 만든 서른 벌의 옷을 입고, 자원 봉사 연예인들과 미혼 엄마들이 같이 무대에 설 거예요. 제가 사랑하는 그 엄마들을 챙기면서 나이 오십에 잘 늙어가고 있다고 느끼는 게 제 자존감이에요. 또 하나의 자존감 지지대는 영어인데요. 60세 이후에는 외국에 나가서도 강연을 하고 싶어요. 나중에 방송에 나와서 옛날에는 스타 강사였어요, 굉장히 유명했어요이런 말 하고 싶지 않고, 한 단계 진화하고 싶어요. 영어 공부를 시작한지는 꽤 됐고요. 내년부터는 제 강의를 영어로 바꿔서 유튜브 방송을 시작할 예정이에요. 그게 저한테는 60세 이후의 커리어를 지키는 자존감이에요."


 

김미경 강사의 책도 책이지만, 그의 이야기에는 귀담아 들을 이야기들이 꽤 있습니다. 자존감 열기가 식지 않는 이유에 대해 그녀는 이렇게 말합니다. 


밖에서 꺼내 쓸 게 없으니까요. 자존감은 내 안의 힘이잖아요. 우리가 대부분 꿈을 이룬다거나 무언가를 성공한다고 할 때 외부의 힘을 끌어다 써야 된다고 생각하잖아요. 내 안의 힘을 꺼내 쓰는 것이 제일 중요한데, 많이 외면됐던 거예요. 그런데 갈수록 외부의 힘을 끌어다 쓰는 게 막히면서, 이제는 내 안에 있는 걸 꺼내서 써야 된다, 내 안에 있는 것이 최고다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는 거죠. 자존감이 가장 근원이에요. 내 안에 있는 힘을 꺼내 쓸 줄 아는 사람이 남의 힘이 들어와도 그걸 이용할 줄 아니까요


 

아이들뿐만 아니라 주변의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해야 할 말이 뭔지에 대해서도 정곡을 찌릅니다. 


우리 아이들한테 제일 자주 하는 말은 너 정말 괜찮은 애야, 진짜 훌륭해, 괜찮아라는 거예요.. 이 말을 농담이 아니라 정말 진심으로 하는 거에요.


아이의 자존감을 깍아 내리는 이유 중 하나가 초조함이라 하는데요, 초조함과 불안은 우리의 영혼을 잠식하는 감정이겠죠. 


살아보니까 세상에는 두 가지 시계가 있는 것 같아요. 사회적 알람과 운명적 알람이 있는데, 운명적 알람이 내 시간이에요. 그게 울려야 뛰고, 그게 울려야 시작이 돼요. 사회적 알람에 맞춰서 뛰는 게 아무 의미가 없는 거죠. 예를 들면, 저는 쉰네 살에 처음으로 두 달 동안 유학을 가봤어요. 유학이 꿈이었는데 한 번도 못 가봤어요. 그런데 갔을 때 너무 재밌었거든요. 그때 제 알람이 맞춰져 있었던 거죠. 제가 아이들을 기다려줄 수 있었던 이유도, 자기만의 운명적 알람이 따로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에요. 불안을 느끼면서도 참으면서 너희는 잘 될 거야하고 우긴 게 아니에요. 알면서 기다린 거예요. ‘사람은 때가 있어, 너는 나중에 잘 될 거야’, ‘가만히 보니까 네 안의 고통을 지나면 무언가 될 것 같아’, ‘너는 서른다섯이나 돼야 꽃필 아이구나이런 느낌이 아이를 보고 있으면 와요. 전제 조건은, 딴 집과 비교하지 않아야 된다는 거예요. 초조하지 않아야 아이를 읽을 수 있어요. 초조하면 불안해서 아이가 읽히지 않아요.

 


사회적 알람과 운명적 알람이라니... 뭔가 내가 뒤쳐진다고 느낄 때, 이 말을 책갈피에서 꺼내보면 어떨까, 그런 생각도 듭니다. 


사춘기를 앞에 둔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이런 말을 전하는데요. 이건 제 여동생에게 언젠가 전하기 위해서 KEEP


Q: 사춘기 아이들을 두고 문 닫으면 수도승, 나오면 조폭이라고 쓰셨어요(웃음). 자녀분들이 모두 사춘기를 지났죠?

A : 다 겪었죠. 영혼이 똑똑한 아이들이니까요. 마음이 똑똑한 아이들일수록 사춘기를 겪어요. 그 시기에 아이들은 나는 누구지? 나는 뭐하고 살아야 되지? 이게 맞아?’라고 질문을 하는 건데, 영혼이 똑똑한 아이들일수록 깊이 들어가서 질문해요. 그래서 깊은 사춘기를 겪어요. 사춘기를 세게 겪는 아이들은 재수가 없어서 그런 것도 아니고, 그 아이들이 나빠서 그런 것도 아니고, 부모가 운이 없어서 그런 아이를 만난 게 아니에요. 마음이 강한 아이들일수록, 자기에 대해서 성찰하는 아이들일수록, 사춘기를 깊게 겪을 수밖에 없어요. 엄마들이 기뻐해 주고 격려해 주고 기다려 줘야 되는 거죠. 사춘기 때 제일 필요한 말이 넌 괜찮아’, 그리고 난 널 믿어예요. 시간이 되면 블랙홀에서 빠져 나와요. 우리 아들이 사춘기 때 이런 말을 했어요. ‘엄마, 나 블랙홀에 들어가 있거든. 밖에서 엄마가 재촉한다고 쉽게 나갈 수 있지 않아. 별에서 나가는 방법은 별의 기운이 떨어졌을 때 나가는 것뿐이야. 그러니까 엄마는 밖에서 기다려라고요.

아이들마다 각기 다른 색깔의 사춘기를 지나요. 누구는 우울한 색으로 지나고, 누구는 폭력적으로 지나고, 어떤 아이들은 엄마랑 대화를 끊고 지내기도 해요. 그런데 그건 문제가 아니에요. 앓는 중이고, 아이들이 빠져 나와요. 그때 엄마의 자세가 중요해요. 울고 있지 말라는 거죠. 자랑스럽게 맞아줘야죠.

 

Q :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많이 하는 말이 제발 대화 좀 하자가 아닐까 싶은데요. 그런 말은 안 하셨어요? 그냥 기다리신 거예요?

A : 그럼요. 아이들 입장에서는 엄마랑 대화가 안 되잖아요. 그 때는 자기들이 신이라고 생각하는데요.

 

Q : 엄마 입장에서는 속이 타들어가잖아요.

A : 물론 그렇죠. 그런데 말을 안 한다고 해서 모르는 게 아니잖아요. 그리고 사춘기 아이들이 속 깊은 대화는 잘 안 하려고 하는데, ‘밥 먹었니? 오늘은 뭐했니?’ 같은 일상의 대화는 가능하잖아요. 그런 일상의 대화도 끊어질 정도로 아이를 압박해 나가면 안 돼요. 그러다 보면 슬슬 아이가 밖으로 나오죠. 스스로 대화를 하고 싶어 할 때도 있고요.

 


김미경 강사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존감은 혼자 키워지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옆에 있는 누군가의 지지대가 될 때, 우리의 자존감은 키워지는 것이겠죠. 그래서 공감과 응원이 진정 필요한 시대라는 생각도 듭니다. 외부로부터 끌어 쓸 수 있는 힘이 점점 막혀가는 시대에 말이죠. 그리고 이 시대에 진정 필요한 것은 자기만의 자존감 과목.

내게 자존감 과목은 무얼까? 일상에서 소소한 과목들을 만들어봐야겠습니다. 2019년에는...

 

참고문헌 김미경, 엄마로서 가장 후회하는 말은 엄마 어떡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