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의 즐거움/동양의역학

성욕과 창조적 삶에 대하여


양생술이라고 아시나요?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고 유지하기 위한 기술을 의미하는데요, 동아시아에서 전통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고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 수행했던 신체 단련술과 정신 수양을 양생술이라고 합니다. 태극권, 요가, 명상 등등을 양생술의 한 방식이라 볼 수 있는데, 형식이 어떤 것이든 양생술은 자기의 욕망을 스스로 조율하는 삶의 기술 터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 기술 연마의 핵심에는 자기 안에 있는 자연의 동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형과 기의 조화를 만드는 것이 자리잡고 있구요.

 

형과 기의 조화, 이 조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게 뭔지 아시나요?

양생술에서는 정의 보호를 제 1 원칙으로 삼습니다. 여기서 정이란 생명의 물질적 기초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요, 신장에 저장된 정액, 침 이런 것이 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침을 뱉지 않고 머금고 있다 삼키는 습관을 들이면 정기가 늘 몸 속에 머물러 눈과 얼굴에서 빛이 난다고 하구요, 절제해야 하는데 절제할 줄 모르고, 과도한 성욕을 조절하지 못하면 중년 이후 기력이 쇠퇴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합니다.

 

과도한 성행위만이 문제는 아닙니다. 그냥 생각만으로도 감정이 정의 소모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마음이 움직이면 기운이 뜨거워지면서 위로 올라오고, 기운이 이렇게 위로 들뜨면 정이 흔들린다는 거죠. 포르노그래피가 홍수처럼 범람하는 시대에 정을 지키는 건 정말 정말 어려운 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고상한 선생님들은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자신의 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필사적으로 자신의 욕망 지도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 욕망을 조정하는 사회적 표상, 이데올로기, 자본의 원리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외부로부터 불어온 욕망으로부터 매순간 단호히 결별하는 결단력이 필요하다!

 

고개를 끄덕이게 되지만 어디 있게 쉽나요? 

이게 쉽지 않죠. 미세먼지가 불어올 때 이것을 벗어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처럼, 한 번 외부에서 불어온 욕망과 유혹으로부터 내 마음과 몸이 무관하게 자유롭게 갈 수 있다고 확신하는 것은 어쩌면 자기기만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 사회 시스템은 남녀의 성욕을 부부 침실 안으로 흡수하려고 하는 부자연스러운 통치전략 속에서 움직입니다. 이 부자연스러운 배치 하에서는 성은 억압받기 마련이고, 이 억압된 성욕은 포르노, 성중독, 성불감, 연애불감, 사랑불감, 단란주점, 매춘, 워커홀릭으로 이어집니다. 억압은 결핍과 중독과 불감을 만들어내고, 그 사이 우리의 정은 소모되고 고갈되는 거죠. 이 좋지 않은 순환에서 벗어나는 게 쉽지는 않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양생의 관점에서 정은 보호해야 하는 것인지 억압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정은 생명 에너지의 근간으로서 잘 보호하고 잘 활용해야 하는 삶의 기술일 뿐인 거죠. 그래서 이론적으로 보면 이런 이야기가 가능합니다. 도덕이나 관습의 울타리를 넘어 성을 탐구하고, 에로스적 관계를 잘 만들어가자

그런데 현실에서는 이런 말이 조금 공허합니다

근대고, 자본이고, 그런 걸 떠나 

인간의 사랑이란 독점, 소유욕에서 결코 무관할 수 없으며

지금 내가 사랑하는 그녀에게 이별선언을 하지 않는 한, 반대로 이별선언을 당하지 않는 한 현실에서 새로운 성을 탐구하거나 에로스적 관계를 만든다는 게 무모한 도전처럼 느껴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만화, 소설, , 문학, 영화 등등 픽션과 상상의 영역에서 사람들은 현실에서는 무모해 보이는 새로운 성, 사랑, 에로스를 탐색하고 고민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루키 문학이 그 대표적 예라 할 수 있을 텐데요. 정을 보호하는 가장 현실적 방법은 적어도 제게는 에로틱한 글쓰기에 대한 도전, 반대로 에로틱한 픽션 문학과 드라마와 영화와 미술에 대한 관심이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성에 대한 현실의 억압을 상상계에서 예술적으로 푼다? 의존이나 집착이 아니라 자유와 환희로 이어지는 사랑의 세계, 집착과 쾌락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를 오롯이 향유하는 원초적 생명력으로서의 사랑의 이야기. 이런 이야기를 상상계에서 그럴 듯하게 풀 수 있다면, 현실계에서는 정도 보호하고 사랑도 조금은 넓어지지 않을까요? 이런 부질없는, 그러나 간절한 바람을 가져봅니다. 

  

우리는 욕망들을 지닌 채, 욕망들을 통해서 성을 이해해야 하며, 새로운 형식적 관계, 새로운 형식의 사랑, 새로운 형식의 창조를 진행해야 한다. 성은 숙명이 아니다. 성은 창조적 삶을 위한 가능성이다(푸코, , 권력 정체성의 정치학, 1984)."


 양생술과 정의 소모를 막기 위해 창조적 삶, 상상계에서의 삶이 필요한 이유입니다